본문 바로가기
정보나눔

나프탈렌(Naphthalene) 성질·용도·위험성 총정리

by 찰리730 2025. 4. 26.
반응형

 

나프탈렌(Naphthalene)이란 무엇인가?

나프탈렌은 화학식이 C₁₀H₈방향족 탄화수소이다. 두 개의 벤젠 고리가 융합된 퓨전 링 구조를 가지며, 상온에서 흰색 결정 형태로 존재한다. 고체지만 휘발성이 높아 특유의 톡 쏘는 냄새를 내뿜는다. 과거에는 옷장 방충제의 대표 성분으로 널리 쓰였으나, 발암성환경호르몬 우려로 사용이 점차 제한되고 있다.

화학적 구조와 물리·화학적 성질

  • 분자식: C₁₀H₈
  • 분자량: 128.17 g/mol
  • 녹는점: 약 80.2°C
  • 끓는점: 약 218°C
  • 밀도: 1.14 g/cm³ (25°C 기준)
  • 용해성: 물에는 거의 녹지 않지만, 에탄올·에테르·벤젠 등 유기 용매에는 잘 녹는다.
  • 안정성: 공기 중 노출 시 천천히 산화되어 황변하며, 강산·강염기와 직접 접촉하지 않는다.

이처럼 휘발성방향족성이 높아 다양한 유기합성 원료로도 활용된다.

주요 용도

1. 방충제 및 탈취제

  • 옷장·서랍 속 나방 방충제로 오랫동안 사용되었다.
  • 습기 제거와 탈취 목적으로도 쓰이나, 점차 대체 물질(파라디클로로벤젠 등)로 전환 중이다.
 

2. 산업용 화학원료

  • 방향족 화합물 합성의 출발 물질로 사용된다.
  • 안트라센, 프탈산무수물, 비닐나프탈렌 등 다양한 중간체 제조에 핵심 원료이다.

3. 염료·페인트·고무 첨가제

  • 합성 염료 제조 과정에 투입되어 색소 전구체 역할을 한다.
  • 고무나 플라스틱의 가소제, 페인트의 용제 등으로 활용된다.

노출 경로와 건강 영향을

사람이 나프탈렌에 노출되는 주요 경로는 흡입과 피부 접촉이다.

  • 급성 노출: 두통, 어지러움, 구토, 호흡 곤란 등이 발생할 수 있다.
  • 만성 노출: 용혈성 빈혈, 백혈구 감소증, 간·신장 손상 위험이 높아진다.
  • 발암성: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IARC에서 그룹 2B(인간 발암 가능성)로 분류한다.

따라서, 산업 현장에서 다룰 때는 밀폐 설비, 적절한 개인 보호장비(PPE)를 반드시 갖춰야 한다.

환경 영향과 규제 현황

  • 대기오염물질: 휘발된 나프탈렌은 대기 중 반응해 스모그 전구물질로 작용한다.
  • 수환경 영향: 유기 용매에 용해되므로, 폐수로 유입 시 수생 생태계에 유해하다.
  • 토양 오염: 토양 침투 시 분해가 느려 장기 잔류할 우려가 있다.
 

국제적으로 유럽연합(EU) 화학물질등록평가법(REACH)과 미국 EPA가 나프탈렌 사용을 제한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유해화학물질관리법에 따라 허가·신고 대상이다.

대체 물질 및 안전 대책

나프탈렌 방충제 대신 파라디클로로벤젠, 시클로덱스트린 기반 친환경 방충제가 개발·상용화되고 있다.
산업용 원료로 사용할 때는 다음을 준수해야 한다.

  1. 밀폐 공정 설계: 퍼지(purge) 시스템과 배기 후드 설치
  2. 개인 보호장비 착용: 화학용 장갑, 보호안경, 유기용제용 호흡기
  3. 대기·폐수 처리: 활성탄 흡착, 고도산화 처리
  4. 비상 대응 매뉴얼: 누출·화재 시 차단 밸브, 소화 설비 점검

안전 취급 가이드라인

  • 보관: 직사광선 차단, 서늘하고 환기되는 장소
  • 이동·취급: 밀폐 용기 사용, 충격·마찰 주의
  • 폐기: 유해화학물질 지정 폐기물로 분류하여 전문 업체 위탁 처리
 

이와 같은 조치를 철저히 이행해야 근로자와 환경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추가 읽을거리

  • 화학 합성 공정에서의 나프탈렌 전환 메커니즘
  • 방향족 화합물의 환경 독성 비교
  • 친환경 대체 방충제 개발 동향

이상으로 나프탈렌의 기본 특성부터 용도, 위험성, 안전 대책까지 살펴봤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활용하려면 규제 기준을 준수하고 대체 기술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