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나눔

의사 직급과 병원 조직구조 총정리: 전공의·전문의·교수·과장·원장의 역할과 차이

by 찰리730 2025. 1. 29.
반응형

병원에 가면 다양한 직함을 가진 의사들을 볼 수 있다. 같은 내과라도 전공의, 전문의, 교수, 과장, 원장 등 여러 직급이 존재하며, 병원의 규모에 따라 직책과 역할도 조금씩 달라진다. 이번 글에서는 의사 직급 체계병원 조직구조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1. 의사가 되는 과정: 인턴과 전공의(레지던트)

1) 인턴(Intern) – 병원생활의 첫 단계

의사가 되기 위해서는 의과대학(6년제) 또는 의학전문대학원(4년제) 과정을 마친 후 국가고시에 합격해야 한다. 이 시험을 통과하면 의사면허를 취득하게 된다.

이후 대부분의 의사들은 1년간 인턴 과정을 거친다.

  • 인턴은 특정 과에 소속되지 않고 내과, 외과, 소아과, 산부인과, 정신과 등 주요 과를 로테이션하며 기본적인 의료 행위를 경험한다.
  • 이 과정에서 본인의 적성과 관심 분야를 고려하여 어느 과를 전공할지 결정하게 된다.

2) 전공의(레지던트, Resident) – 본격적인 전문 수련 과정

인턴을 마치면 원하는 전공과에 지원하여 전공의(레지던트, Resident) 과정을 시작한다.

  • 전공의는 보통 4년(일부 과는 3~5년) 동안 해당 과에서 집중적으로 수련을 받는다.
  • 이 기간 동안 진료, 수술, 연구 등을 배우며 매년 R1, R2, R3, R4(레지던트 1~4년차)로 불린다.
  • 수련 과정이 끝나면 전문의 시험에 응시할 자격을 얻는다.

 

2. 전문의와 전임의(펠로우, Fellow)

1) 전문의(Attending Physician) – 독립적인 진료 가능

전공의 과정을 마친 후 전문의 시험에 합격하면 해당 과의 전문의가 된다.

  • 전문의가 되면 더 이상 상급자의 감독을 받지 않고 독립적인 진료를 할 수 있다.
  • 대학병원, 종합병원, 개인병원 등에서 전문의로 근무하거나 개인 병원을 개업할 수도 있다.

2) 전임의(펠로우, Fellow) – 세부 전공 심화 과정

전문의가 된 후 더 전문적인 세부 분야를 배우고 싶다면 전임의(펠로우) 과정을 거칠 수 있다.

  • 예를 들어, 내과 전문의가 된 후 소화기내과, 심장내과, 내분비내과 등 세부 분과를 더 깊이 연구할 수 있다.
  • 전임의 과정은 보통 1~3년간 진행되며, 이후 해당 분야에서 분과 전문의 자격을 얻을 수 있다.

3. 교수 직급 체계: 대학병원의 의사 직급

대학병원이나 의과대학에서는 교수로서 연구와 교육을 병행할 수 있다. 교수는 의사이면서도 연구와 교육을 담당하는 역할을 한다.

1) 임상강사(Clinical Instructor, 임상조교수)

  • 전임의 과정을 마친 후 대학병원에서 임상강사로 일하며 교수로 가기 위한 준비를 한다.
  • 이 시기에 교수 승진 심사를 통과하면 조교수가 될 수 있다.

2) 조교수(Assistant Professor)

  • 교수 직급의 첫 단계로, 의료진 중에서도 가장 낮은 교수 직위이다.
  • 환자를 진료하면서 의과대학 학생과 전공의를 지도하고 연구 논문도 작성해야 한다.

3) 부교수(Associate Professor)

  • 조교수에서 일정 기간(보통 4~5년) 경력을 쌓고 연구 업적이 인정되면 부교수로 승진한다.
  • 부교수는 학문적 권위가 높아지고, 대학 내에서 더 많은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4) 정교수(Professor, 교수)

  • 부교수에서 연구 실적과 교육 경력이 쌓이면 정교수로 승진할 수 있다.
  • 정교수는 병원과 대학 내에서 가장 중요한 의사결정권을 가지며, 학과장 또는 병원장 직책을 맡을 수도 있다.

 

4. 병원의 조직 구조: 과장, 분과장, 실장, 원장

1) 과장(Department Chief)

  • 각 과(내과, 외과, 소아과 등)에서 가장 경력이 많은 전문의가 과장을 맡는다.
  • 과장은 해당 과의 행정 업무, 수련 프로그램 운영, 연구 관리 등을 총괄한다.

2) 분과장(Section Chief, 분과별 책임자)

  • 예를 들어, 내과에는 소화기내과, 호흡기내과, 심장내과 등 여러 분과가 있다.
  • 각 분과별 책임자가 분과장을 맡으며, 세부적인 진료와 연구를 관리한다.

3) 실장(Director, 병원 운영 담당자)

  • 병원 실장은 병원의 행정, 운영, 마케팅, 재무 등을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 일반적으로 의사가 아닌 병원 경영 전문가가 맡지만, 일부 성형외과나 치과에서는 상담실장(코디네이터) 역할을 하는 의료진 출신 실장도 있다.

4) 원장(Hospital Director, 병원장)

  • 병원의 최고 책임자로, 병원의 정책 결정과 운영을 총괄한다.
  • 대학병원에서는 교수진 중에서 선출되며, 임기가 있다.
  • 개인 병원에서는 개업 의사가 원장이 되는 경우가 많다.

 

5. 내과·외과 등 주요 과와 세부 분과 체계

병원에서는 크게 내과와 외과로 나뉘며, 그 아래 세부 분과가 존재한다.

1) 내과(Internal Medicine)

  • 환자의 약물 치료와 내과적 처치를 담당하며, 주로 비수술적 치료를 진행한다.
  • 주요 세부 분과:
    • 소화기내과, 심장내과, 호흡기내과, 내분비내과, 신장내과, 혈액종양내과 등

2) 외과(Surgery)

  • 수술을 통해 환자의 질환을 치료하는 분야이다.
  • 주요 세부 분과:
    • 일반외과, 흉부외과, 신경외과, 정형외과, 성형외과, 비뇨의학과 등

 

6. 병원 조직과 의사의 역할 정리

  • 인턴(1년) → 전공의(4년) → 전문의
  • 전문의 후 펠로우(전임의, 1~3년)를 거쳐 세부 분과 전문의
  • 대학병원에서는 조교수 → 부교수 → 정교수로 승진 가능
  • 병원 내 과장, 분과장, 실장, 원장 등 다양한 직책 존재

의사의 직급 체계는 환자에게 최적의 진료를 제공하기 위한 체계적인 시스템이다. 각 직급과 역할을 이해하면 병원의 구조를 더 잘 파악할 수 있으며, 의료 서비스의 흐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