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나눔

12.12 사태(쿠데타,군사반란)

by 찰리730 2024. 12. 12.
반응형

12.12 사태 AI 이미지



아래 내용은 확인 가능한 역사적 사실에 기초한 것으로, 대한민국 현대사 관련 서적 및 신뢰성 있는 온라인 자료(예: 한국현대사 관련 연구기관, 공신력 있는 언론의 역사 특집 기사 등)를 바탕으로 정리한 것이다. (2024년 12월 12일 현재, 공신력 있는 한국 현대사 자료 및 언론 보도를 재확인함)


---

대한민국 12.12 사태 정리: 배경부터 전개까지


1979년 12월 12일에 발생한 ‘12.12 사태’는 박정희 대통령의 암살(1979년 10월 26일) 이후 권력 공백 상태에서 벌어진 신군부 세력의 군사적 움직임으로, 이후 전두환 세력이 정권을 장악하는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 당시 대통령 권한대행 최규하 정부는 비교적 합법적, 온건한 정국 수습을 시도하고 있었으나 군 내부에 포진한 하나회 세력 중심으로 안보사령관 전두환, 보안사령부 요원 등이 군 지휘부를 장악하는 과정에서 충돌이 일어났다.

아래는 12.12 사태의 날짜 및 시간 흐름에 따른 주요 전개 과정을 정리한 것이다.


---

사태 전 배경 (1979년 10월~12월 초)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대통령이 김재규 중앙정보부장에 의해 피살되었다. 이후 최규하 국무총리가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고, 군부 내에서는 박정희 체제 유지에 힘쓰던 세력이 흔들리며 권력 공백 상황이 발생한다.

11~12월 초: 최규하 권한대행 체제 하에서 민정 이양을 모색하던 가운데, 보안사령관 전두환 소장(당시 계급)과 하나회 중심의 신군부 세력은 박정희 암살 사건 수사와 권력 재편 과정에서 주도권을 잡기 위한 내부 모의를 지속한다. 이들은 당시 육군참모총장 정승화 대장을 암살 사건 관련 “진상 규명 방해” 혐의로 몰아 권력의 고리를 장악하려는 구상을 갖고 있었다.



---

1979년 12월 12일 저녁: 긴장 고조


12월 12일 오후~저녁: 전두환을 중심으로 한 보안사 세력이 육군참모총장 정승화 대장에 대한 체포 작전을 결정한다. 이들은 박정희 암살 사건 수사 과정에서 정승화 총장이 비협조적이거나 수사를 방해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이를 빌미로 군 지휘부 교체를 시도한다.

12월 12일 저녁 9시경 전후: 전두환 지시 하에 특수부대가 정승화 육군참모총장을 서울 삼청동 총장 공관에서 강제 연행한다. 이 과정에서 당시 법적 지휘계통을 따르지 않은 군사행동이 이루어져, 사실상 ‘군 내부 쿠데타’가 발생한다.



---

12월 12일 밤~12월 13일 새벽: 충돌과 장악


12월 12일 밤~13일 새벽: 정승화 총장 체포 이후 상황을 수습하려는 합동참모본부 측 군 지휘관 및 일부 부대와, 전두환-노태우 등 신군부 세력 간에 긴박한 무력 충돌이 벌어진다. 특히 서울 일대 주요 군사 시설(국방부, 합동참모본부) 주변에서 양측의 무장 대치가 발생하고, 일부 총격전까지 벌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12월 13일 새벽: 결국 신군부 세력이 군 요직을 장악하는 데 성공한다. 전두환과 그를 지지하는 장군단은 정승화 총장을 구금하고, 군 지휘 체계를 자신들의 영향력 아래 두게 된다.



---

사태 이후: 권력 재편


12.12 사태 이후 전두환을 중심으로 한 신군부는 군 내부 권력을 완전히 장악하고 점차 정권 핵심부로 진출한다. 최규하 대통령 아래 형식상 민간 행정부가 존재했으나, 실질적 권력은 신군부에게 넘어가며, 이는 결국 1980년 5.17 비상계엄 확대 조치와 5월 광주민주화운동 진압을 거쳐 전두환의 대통령 취임(1980년 9월)으로 이어진다.



---

정리


12.12 사태는 1979년 말 대한민국이 권력 공백 상태 속에서 군 내부 세력이 정권을 장악하기 위해 일으킨 군사 행동이었다. 12월 12일 밤부터 13일 새벽까지 이어진 긴박한 체포와 무력 충돌은 국가의 헌정 질서를 흔들었으며, 결과적으로 신군부가 향후 정권을 손에 넣는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 이는 박정희 체제 붕괴 후 민주화로 나아갈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무력화하고, 또다른 군사정권 시대로 이어지게 만든 비극적인 사건이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