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나눔

한강의 모든 다리와 이야기, 그리고 미래

찰리730 2025. 1. 5. 23:40
반응형

아래 내용은 2023년까지 공개된 자료와 비교적 널리 알려진 정보들을 토대로 정리한 것이다. 한강 전 구간(서울 및 경기 일부)에서 “몇 개의 다리가 있다”라고 딱 잘라 말하기에는, 도로전용 교량·철도전용 교량·보도교 등 분류 방식마다 개수가 조금씩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서울 도심 구간을 지나는 한강 다리는 약 31개”라고 알려져 있으며, 철교까지 포함하면 33개 이상으로 집계되기도 한다. 다만 다리별 정확한 길이, 폭(차로 수), 건설 연도 등 세부 정보는 공개 자료가 제한되어 일부만 소개한다. 새로 건설될 교량에 대해서도 확정된 공식 발표가 많지 않아, 확인되는 범위 내에서만 언급한다.

아래 정리에서는 비교적 자주 언급되는 ‘도로 교량 + 주요 철교’를 위주로, 동쪽 상류(팔당댐 인근)부터 서쪽 하류(김포·행주 방면)까지 순서대로 간략히 살펴본다. 실제 한강 최상류(강원·충북 지역)나 하구(서해)까지 엄밀히 포함하면 더 많은 교량이 있으나, 서울 및 주변 위주로 제한했다.

한강 상류(동쪽)부터 하류(서쪽)까지 주요 교량

1. 팔당대교

팔당대교


– 개통: 1995년
– 특징: 팔당댐 하류와 연결되어 있으며, 경기도 하남·남양주를 잇는다.
– 길이·폭: 길이 약 900m 내외, 구체적 폭은 공개 자료가 제한적이다.
– 역사적 사건: 특별한 파손 사례 등은 없으며, 댐 바로 아래 위치로 주변 풍광이 좋아 드라이브 코스로도 유명하다.


2. 강동대교
– 개통: 1991년경(본격 확장 개통은 이후 여러 차례 보수)
– 특징: 서울 강동구와 경기 하남시를 잇는 주요 교량.
– 길이·폭: 약 1,100m 전후로 알려져 있으나 정확한 자료는 제한적이다. 왕복 8차로 규모로 운영 중이다.


3. 고덕대교
– 개통: 1997년
– 특징: 강동구 고덕동과 하남 미사지구 쪽을 연결한다.
– 길이·폭: 자료가 제한적이나, 왕복 8차로 정도로 알려져 있다.
– 역사적 사건: 특별한 사고 사례는 없는 편이다.


4. 천호대교

천호대교


– 개통: 1976년(구교는 이후 부분 재건축 및 확장)
– 특징: 서울 강동구 천호동과 광진구 구의동을 연결한다.
– 길이·폭: 총 길이 약 1,150m, 왕복 8차로(양방향 합계 기준).
– 역사적 사건: 특정 대형사고는 없으나 1970년대 한강 개발 초기 대표적 교량 중 하나다.


5. 광진교
– 초창기(구교) 건설: 1936년, 이후 2003년경 새 교량 재건
– 특징: 올림픽공원 인근과 뚝섬유원지 방면을 잇는 오래된 다리 중 하나. 2층 구조(하부 보도·자전거 도로, 상부 차량 통행)로 유명.
– 길이·폭: 길이 약 1,200m 전후로 추정, 왕복 4~6차로.
– 역사적 사건: 한국전쟁 등 여러 전쟁 시기 군사적 요충지였다. 파손과 재가설을 여러 번 거쳤다.


6. 잠실철교
– 개통: 1979년
– 특징: 서울 지하철 2호선이 통과하는 철도 전용 교량. 바로 옆에 잠실대교가 위치.
– 길이·폭: 철도 전용이므로 폭보다는 복선(양방향 2선) 여부가 중요. 복선 선로 형태로 운영.


7. 잠실대교

잡실대교



– 개통: 1972년
– 특징: 송파구 잠실과 강남·광진 방면을 연결하는 주요 간선 도로.
– 길이·폭: 약 1,135m로 알려져 있으며, 왕복 8차로.
– 역사적 사건: 1986년 아시안게임, 1988년 서울올림픽 등에서 이 지역이 크게 개발되면서 교통량 폭증.


8. 올림픽대교
– 개통: 1990년
– 특징: 교각 상부에 케이블이 설치된 사장교 형태로 디자인이 독특하다.
– 길이·폭: 약 1,570m, 왕복 6차로.
– 역사적 사건: 이름에서 보이듯 1988년 올림픽의 영향으로 계획·건설되었다.


9. 청담대교


청담대교


– 개통: 1999년
– 특징: 하부에 청담역이 위치해 지하철 7호선이 지나간다. 상부는 일반 차량 도로.
– 길이·폭: 약 1,200m, 왕복 10차로로 비교적 폭이 넓은 교량이다.


10. 성수대교
– 개통: 1979년 / 재개통: 1997년
– 특징: 성동구와 강남구를 잇는 대표적 교량. 1994년 붕괴 사고로 크게 이슈가 되었고 이후 재가설.
– 길이·폭: 약 1,160m, 왕복 8차로.
– 역사적 사건: 1994년 10월 붕괴 사고(19명 사망, 17명 부상). 대한민국의 대표적 안전관리 실패 사례로 꼽힌다.


11. 동호대교
– 개통: 1985년
– 특징: 서울숲·성동구 방면과 강남구 압구정·신사동을 연결한다.
– 길이·폭: 약 1,140m, 왕복 6~8차로(구간별로 차로 수 차이).


12. 한남대교

한남대교


– 초창기 명칭: 제3한강교(개통 당시)
– 개통: 1969년
– 특징: 강남·용산을 잇는 중추 간선교.
– 길이·폭: 약 917m, 왕복 8차로.
– 역사적 사건: 1960~70년대 한강종합개발 초기 건설된 ‘한강교 시리즈’ 중 하나.


13. 반포대교
– 개통: 1982년
– 특징: 교량 위에 또 다른 교량(플로팅 구조)의 ‘세빛섬’ 및 유명한 달빛무지개분수로 관광명소.
– 길이·폭: 약 1,490m, 왕복 6차로.
– 역사적 사건: 눈에 띄는 붕괴사고는 없으나, 2000년대 들어 관광 요소를 강화하며 유명세를 얻었다.


14. 동작대교
– 개통: 1984년
– 특징: 노량진(동작구)과 서초구 방면을 연결. 지하철 9호선(동작역)이 교량 하부와 연결되는 구조.
– 길이·폭: 약 1,140m, 왕복 6차로.


15. 한강대교

한강대교


– 개통: 1917년(당시 ‘한강인도교’로 명명)
– 특징: 서울에서 가장 오래된 한강 교량 중 하나. 중구·용산과 노량진을 잇는 중요한 교량이었음.
– 길이·폭: 약 919m, 차로 수는 재건 이후 변동되어 현재는 왕복 6~8차로.
– 역사적 사건: 한국전쟁 당시 한강 인도교 폭파 사건(1950년 6월 28일)으로 많은 민간인 피해 발생.


16. 원효대교

원효대교


– 개통: 1981년
– 특징: 용산과 마포를 잇는 교량으로, 마포대교와 한강대교 사이에 위치.
– 길이·폭: 약 1,025m, 왕복 6차로.


17. 마포대교

마포대교


– 개통: 1970년
– 초창기 명칭: 서울대교
– 길이·폭: 약 1,390m, 왕복 8차로.
– 특징: 상부에서 여의도 전경이 잘 보여 사진 촬영 명소 중 하나.
– 역사적 사건: 커다란 붕괴사고는 없으나, 여러 드라마·영화 촬영지로 자주 등장.


18. 서강대교
– 개통: 2002년
– 특징: 마포구와 여의도를 직접 연결하는 비교적 최근 교량.
– 길이·폭: 약 840m, 왕복 6차로.



(이 외에도 당산철교, 밤섬철교, 양화대교, 성산대교, 가양대교, 방화대교, 김포대교, 행주대교 등이 이어지며, 각각 길이와 폭, 건설 시기는 조금씩 다르다. 그러나 모든 교량의 세부 제원(길이·폭)을 명확히 확인할 수 있는 공식 자료는 제한적이다.)

대표적인 역사적 사건
– 한강 인도교(현 한강대교) 폭파 사건(1950년 한국전쟁 초반)
– 성수대교 붕괴 사고(1994년)
– 그 외에도 한국전쟁 시기 다수의 교량이 군사적 목적으로 부분·전체 파괴 후 재건된 사례가 있다.

앞으로 계획 중이거나 최근 개통된 다리
– 월드컵대교: 2021년 부분 개통. 마포구 상암동 일대와 고양시를 연결하며 왕복 6차로 이상으로 확장 가능성이 있음. 아직 전 구간 완전 개통이 이뤄지지 않아 후속 공사 일정이 있다.
– 그 밖에 공식적으로 “새 한강 교량”을 확정 지어 발표한 사례(예: 정확한 길이·폭, 착공·완공 시기)는 현재(2023년 기준)까지 뚜렷이 공개된 바가 많지 않다. 서울시가 진행하는 일부 사업 계획(한강변 보행교량 등)은 논의가 계속되고 있으나, 구체적 착공 시점·규모는 유동적이다.

정리하자면, 한강을 가로지르는 다리는 구분 방식(도로·철도·보도교)에 따라 31개~33개 이상 존재한다. 다리별 길이와 차로 수, 역사 등은 각기 다르며, 특히 한강대교와 성수대교 등은 역사적 사건과 결부되어 자주 언급된다. 향후 새 교량 건설은 ‘월드컵대교’가 가장 최근 사례이며, 이 외에 뚜렷한 신규 다리 계획(길이, 폭, 착공 일정)은 현재까지 공개 정보가 제한적이므로 구체적으로 안내하기 어렵다.

반응형